•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오스트리안 오디오 앰프의 TTT기능

SunRise SunRise
714 9 33


풀 스코어 원의 TTT 버튼이 해당 앰프의 마스코트입니다.




기어라운지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트루 트랜지언트 테크놀로지 (TTT) 

TTT 기술은 가장 가파른 트랜지언트 시그널도 리스너에게 정확히 전달합니다. 

앰프의 짧은 아웃풋 전압 불변 상승 시간 및 높은 슬루율을 결합하여 미묘한 뉘앙스를 전부 캐치할 수 있습니다. 

일부 오래된 오디오 프로덕션은 느린 시스템을 염두에 두고 믹싱되었을 수 있으므로 리스너는 이러한 레코딩에 대해 TTT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TTT 기능은 헤드폰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유용한 도구입니다. 








소위 빠른 트랜지언트를 구현한 것이 TTT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음상이 공중에 뜨는 느낌이 재밌습니다.





내부 사진, 내용 출처 : Austrian Audio Full Score one - Gearlounge



신고공유스크랩
무직마니아 무직마니아님 포함 9명이 추천

댓글 33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TTT가 궁금하긴 한데 청음 말고 체험하려면 238만원이라 무섭습니다..  orz
(헤드폰보다 더 청음샵에 안 깔릴 물건이기도 하고)

19:31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연월마호
기회 되시면 한번 들어보세요. 재밌습니다 ㅎㅎ
19:37
23.12.11.
profile image 2등
오리지널 AKG 폰들의 강점이 극강의 트랜지언트였는데, 그 연장선상인 걸까요.
19:40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alpine-snow
501의 두꺼운 다이어프램과는 또다른 느낌이라 신기합니다. 특히 소니 바이오셀룰로오즈 드라이버와 궁합이 좋았습니다.
21:12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아래의 정우철님 댓글의 댓글로 쓰신 내용을 보니 충분히 그럴만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이어프램의 전후 임계 포지션에서 다음 스트로크로 넘어갈 때의 움직임이 많이 둔해서
부~ 하는 느낌이 드는게 소니 바이오셀룰로오스 드라이버의 취약점이라 느꼈거든요.
22:53
23.12.11.
3등

덱앰프 일체형은 아니고 순수앰프군요.

19:50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호루겔
네 d90se에 물렸습니다
21:12
23.12.11.
SunRise
사진보고 사이즈가 좀 되는가보가 했는데 검색해보니 가로사이즈 22cm...
다시보니까 앞으로 당겨놓고 찍으신거였네요 ㅎㅎ
21:24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호루겔

A90과 달리 XLR 단자 위치가 반대여서 건축물같이 배치되었습니다 ㅋㅋ

21:42
23.12.11.
profile image

하이엔드 앰프와 헤드폰이 같이 나온거네요. 어디서 들어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20:14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숙지니
나중에 기어라운지에서 청음기를 비치하지 않을까요?
21:12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로우파이맨최노인
낮은 볼륨에서도 게인이 높은 편이라 품질 좋은 포텐셔미터를 채택한 것 같습니다.
21:13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정우철

영상으론 잘 안보이긴 합니다.

저도 궁금해서 눈 앞에 대고 분석해보았습니다.


보이스코일이 상하 양 극단에 위치할 때 다이어프램의 펄럭거림이 크게 발생하는데, 

해당 현상을 줄이기 위해 극단값의 시간을 줄이고 코일을 빠르게 당기는 듯한 인상이었습니다.

21:11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문맥이 게딱지같아서 뭔가 하고 찾아봤더니 https://kopfhoererboutique.com/products/austrian-audio-full-score-one-preorder 에 씌여진 소개문구 번역기에 넣었다 뺀거 그대로 올려놨네요
마땅히 할만한 말이 있을리가 없는건 이해하지만 어휴 저 아마추어리즘 어쩔거야..
22:35
23.12.11.
profile image
재밋네요. 가격만 높은 제품들보다는
살짝 기믹성이 있어서 보이지만 특수기능을 탑제한게
재밌습니다. 컴포져랑 함께 하면 가격이...ㅎㄷㄷ
21:11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iHSYi
타사에서 보기 힘든 기믹이라 재밌게 들었습니다 ㅎㅎ
21:14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고조파 미세조정하는 튜닝일 것 같습니다
몇가지 측정그래프에서 보여질 독특한 형태가 대강 예상이 되네요
22:36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정우철

사인파의 끝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보이스코일을 당기는 듯한 인상입니다. 계측기가 있다면 한번 찍어보고 싶네요

13:43
23.12.12.
profile image
SunRise

정말 그런 식이라면 트랜지언트 보다는 다이나믹컴프레션(=새츄레이션)에 대한 보상 메카니즘이라고 보는게 더 가까울 것 같네요

20:30
23.12.12.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정우철
오.. 그렇군요!
20:43
23.12.12.
정우철
보상...보다는 오히려 의도적인 압축(->홀수차 하모닉스) 아닌가요?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흥미롭네요.
22:47
24.05.25.
Magnesium
뉴트론 플레이어에선 플레이어 자체에 홀수차 배음을 집어넣는 기능이 들어있습니다
짝수차는 풍성함, 홀수차는 단단함을 보통 느끼게 한다고 이야기한다고 하죠

초고역 우상향하면 임펄스상으로 반응이 빠르게 보이는게 맞죠
다만 청감상 영향을 주는건 7k 0.2dB 넓은딥이 더 크지 않을까 싶네요
풀스코어원 자체가 매우낮은 극저역에서 롤오프가 있는것도 댐핑이 강하게 되어있는 류의 응답이긴 합니다
22:53
24.05.25.
Magnesium
TTT모드는 좀 더 B클라스 앰프스럽게 움직이는? 기능이겠군요.
풀스코어원이 B클 앰프보단 B에 가까운 AB클 앰프 아닐까 싶습니다.
23:25
24.05.25.
profile image
Magnesium

다이나믹컴프레션은 다이나믹레인지가 압축되어서 파형이 뭉툭해지는 현상입니다
드라이버 구동할 때에도 구동부품 질량과 서스펜션의 탄력 때문에 당연히 나타나는 왜곡이고, 보통은 자기테이프나 진공관처럼 딱 떨어지게 작동하지 않고 애매한 특성을 띄는게 정체성인 아날로그적 장치를 얘기하는 맥락 중에 많이 언급되는거에요
다이나믹컴프레션이 발생하면 파형이 뭉툭해집니다
파형이 주파수 대비 앰플리튜드가 낮아져서 높이가 낮아져요
즉 집어넣은 신호에 비해 출력된 신호 또는 음파의 0에서부터 피크까지 가는 선의 각도가 완만해집니다
우리가 들을 소리도 좋게든 나쁘게든 달라지기는 하겠지요?
저는 ttt라는걸 아직까지는 파형을 피크에 빨리 도달시키려고 개발한 기술로 봅니다
직접 들어도 보고 더 확실한 공식 해설이 나와야 진짜로 뭔지 알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는 다이나믹컴프레션의 정도를 줄여보려는 기술적 시도인 것 같다는 말이죠
제 가설은, ttt옵션을 켜주고 시간의 흐름(타임도메인)에 따라 다이어프램이 움직이는 양태를 볼 경우, 스트록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더 강하게 힘이 걸려서 빠르게 끝까지 갑니다
그래서 이걸 그래프로 그리면 0에서 + 또는 -의 끝까지 이어지는 선이 보다 수직선에 가까운 모양이 되겠지요
이대로 그래프를 이어서 그리면, 집어넣은 신호는 사인파인데 출력되는 파형은 좀 더 뾰족하고 높은, 극단적으로는 사각파에 좀 더 비슷해보이게 되겠구요
그런데 어떤 오디오 증폭회로의 출력파가 다이나믹컴프레션으로 살짝 눌려서 원본보다 뭉툭하고 뚱뚱한 형태라면?
걔를 ttt로 보정을 해주면 원본의 생생하고 날카로운 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리고 저는 여기에서 고조파 차수가 홀인지 짝인지 몇차인지가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곰솥 가득 잔뜩 부어넣고 뭔 찌개를 끓이더라도 미원은 한 꼬집정도, 많아야 티스푼 깎아서 한번정도 퍼넣잖아요?
그보다도 미소한 비율로, 그저 조합 레시피가 있을 뿐일거에요

07:25
24.05.26.
정우철
댓글 달았었는데 찬찬히 읽어보니 소스에서의(주로 아날로그 매체)에서 발생하는 컴프레션을 복구하는? 그런 말씀이셨던 것 같네요

컴프레션이라는 말을 주로 구동부(스피커 유닛)쪽에서 접하다보니...

그 압축이 되고 그걸 되돌리는게 홀수차하모닉스인건 맞긴 할겁니다
사인파에 무언가 더해져서 음압이 줄어드는걸 생각하면...

특히 스피커에선 둘이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고요
12:03
24.05.26.
profile image
Magnesium
홀짝을 의식하지 마세요
그거 아무것도 아니에요
13:14
24.05.26.
정우철
2차는 비대칭 3차는 압추..읍읍
23:16
24.05.26.
profile image
Magnesium
트랜지언트 시간을 줄이는게 목적일 뿐 몇차 고조파를 어떻게 샤부작 해서..식으로는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12:18
24.05.27.
정우철
결국은 앰프에서 보상하는 방식도 홀수차 하모닉스 일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다만 압축으로 일어나는 홀수차 하모닉스와는 위상이 반대일거구요. B클라스 앰프의 스위칭왜곡이 말씀하시는걸 보상할 방법이랑 잘 맞는 것 같네요.

그러고보니 고조파에 대한 언급도 이미 하셨군요

잘 배우고 갑니다
아날로그 음원, 아날로그 음원을 디지털화 한 음원에 어느정도 의도대로 동작하겠네요
12:12
24.05.26.
profile image

오호... 아주 비싼 앰프군요. ㅠㅠ 기능은 좋아보입니다. 한번 경험해 보고 싶습니다.

23:18
23.12.11.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플랫러버
TTT 기능이 인상깊었습니다 ㅎㅎ
13:43
23.12.12.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부운영자 모집 공고! 29 영디비 24.06.04.15:37 3327 +16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3258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2821 +13
음향
normal
호연 10분 전14:09 21 +2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2시간 전11:42 90 +7
잡담
image
플랫러버 3시간 전10:46 82 +6
음향
image
플랫러버 5시간 전09:19 91 +13
잡담
image
iHSYi 6시간 전08:19 612 +7
잡담
image
마니마니 9시간 전05:10 127 +9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0시간 전03:46 109 +7
잡담
image
타이거마스크 11시간 전02:43 118 +7
음향
image
무직마니아 12시간 전01:25 68 +4
잡담
image
무직마니아 13시간 전01:14 72 +5
음향
image
AICPA 13시간 전00:45 95 +3
잡담
image
쏘핫 13시간 전00:36 120 +7
잡담
image
LiNee 13시간 전00:33 103 +3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13시간 전00:29 69 +10
잡담
image
햄최삼 14시간 전00:19 67 +5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14시간 전00:05 45 +7
잡담
image
배고파정말 14시간 전00:02 89 +9
잡담
normal
쏘핫 14시간 전23:54 70 +4
잡담
image
LiNee 14시간 전23:35 61 +5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5시간 전22:27 98 +4
잡담
image
tk56 16시간 전21:58 71 +8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21:52 167 +7
잡담
image
-akg싼거 16시간 전21:37 349 +7
잡담
image
윤석빈 16시간 전21:37 27 +2
잡담
image
-akg싼거 16시간 전21:35 288 +4
IT
image
청년 16시간 전21:28 64 +6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21:24 41 +4
잡담
normal
LiNee 17시간 전21:06 89 +5
잡담
image
LiNee 17시간 전20:47 45 +7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7시간 전20:35 5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