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지식과팁

이너피델리티 FR Graph 측정치 모음 13. Pioneer

SunRise SunRise
64 6 2

세계에서 가장 일관적이고 다양한 명기들이 즐비한 이너피델리티의 측정치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 중입니다.

 

PDF로 확인하려니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 이렇게 묻히기에는 아깝습니다.

 

먼저 FR Graph부터 각 회사별로 정리합니다.

 

 

제가 RAW FR을 분석할 수 있게 된 것도 모두 이너피델리티 덕분입니다.

 

이토록 다양한 제품을 동일한 환경에서 측정한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공부하기에도 매우 좋습니다. RAW FR로 보시길 강력 추천드립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하 HP1의 잠재력을 발견한 곳이니, 각자 원하는 제품 하나씩을 찾아봐도 재밌습니다.

 

 

 

 

0000_PioneerHDJ500.pdf.jpg

HDJ500

0001_PioneerHDJ1000.pdf.jpg

HDJ1000

0002_PioneerHDJ2000.pdf.jpg

HDJ2000

0003_PioneerLoopSEMJ31VDIYModifiednickn.pdf.jpg

Loop SEMJ31V modified by nickn

0004_PioneerMonitor10II.pdf.jpg

MONITOR 10 II

0005_PioneerMonitor10IIBinbox.pdf.jpg

MONITOR 10 II SAMPLE B 

0006_PioneerSE500DIYModifiedilikepie116.pdf.jpg

 SE500 modified by ilikepie116

0007_PioneerSE500DIYModifiedTakato14.pdf.jpg

 SE500 modified by Takato14

0008_PioneerSEA1000.pdf.jpg

 SE-A1000

0009_PioneerSEM290.pdf.jpg

 SE-M290

0010_PioneerSEMaster1.pdf.jpg

 SE MASTER 1

0011_PioneerSEMJ31.pdf.jpg

 SE-MJ31

 

 

출처 https://www.stereophile.com/content/innerfidelity-headphone-measurements 

신고공유스크랩
숙지니 숙지니님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파이오니아 헤드폰은 DJ용이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비록 헤드폰 제조 역사에 비해 알려진 제품이 적지만, 모니터 10의 경우는 시대의 족적을 남겼을 정도로 해외에서 유명합니다. (한국에 정식 수입이 되지 않아 아는 분은 적습니다) 또한 90년대 일본 밀폐형 하우징 재질 경쟁이 붙었을 때 세라믹 컴포지트 재질로 타사를 압도하는 수준의 제진 효과를 뽐냈습니다. 이외에도 CLX7과 같은 이어폰을 보면 DF 타겟을 염두하는 등, 나름 모니터&중립&DJ 제품의 역할을 준수하려는 것이 느껴집니다. 

다만 발매 주기가 긴데다 용도가 제각기 달라 일반인으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메이커입니다.
특히 타겟에 맞는 제품이 드물고 파이오니아 튜너의 입김이 강하게 들어가서 호불호가 확실히 갈립니다.

 

개인적으로 세련된 튜닝이라기보단 기술 자체의 성취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느낌이었습니다.

00:58
24.05.26.
퍼이오니아 항상 시대에서 앞서가는 기술 설계 재료 가지고 소리를 특이하게 뽑아내서 아쉽습니다.

지금까지 보유했던 파이오니아 기기들은 전부 그 시대에서 최상급이었던거 같아요
01:03
24.05.26.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