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음향

aune AR5000 헤드폰 첫 인상

SunRise SunRise
591 8 38


연월마호 님의 찬조품 중 하나입니다.

솔직하게 적기가 참 어려운데 좋은 기회를 마련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다는 재료와 레시피를 모아서 요리사가 자기 마음대로 조리했다는 느낌입니다.

구조 자체는 나름 독특한 부분이 있는데 목적을 모르겠습니다.

평판형의 플럭스 마그네틱 후면 구조를 굳이 넣은 이유가..


저음 존재감을 낼 거였으면 fo를 컴포저처럼 좀 더 왼쪽으로 내리던지, 아니면 고음을 자연스럽게 가공했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구조가 앵글 드라이버와 시너지를 내는 부분도 마땅찮고, 댐퍼가 고음을 뉴트럴하게 맞추려고 했으나 이도저도 아닙니다.


차라리 m1st처럼 이어패드의 두께를 줄이고 측압을 올렸으면 

앵글드 드라이버 전후면 거리의 비율이 적절하게 조정되어 이머시브한 느낌이 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일단 첫 인상이니 좀 더 들어보겠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윤석빈 윤석빈님 포함 8명이 추천

댓글 38

댓글 쓰기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청음할 때 대부분의 시간을 드라이버 위치 잡는 데에 할애하였습니다.
앵글이 이상하게 생겼나 싶어 패드도 분리해봤는데(패드 분리 용이도는 만점입니다) hd560s처럼 전방을 향해 정직하게 기울어져 있어 문제가 없었습니다.
21:12
24.01.27.
2등

임피던스하고 그룹지연 특성을 보면 일반적인 dd하고는 특성이 다른게 fo가 평판형과 비슷한 특성을 보여줍니다. 대신 중고역대는 dd처럼 그룹지연이 거진없고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중고역대 쏘는 부분을 제외하면 평판형 헤드폰인 순다라랑 비슷한 특성으로 느꼈습니다. 


앵글 드라이버의 입체감 평판형 같은 저음 특성 중고역대는 dd스러운 부분으로 인해 톤밸런스는 레퍼런스에 가까운데 지금까지 구매했던 레퍼런스 폰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소리를 들려주는 모델이었습니다. 노이만 ndh30이 비슷한 앵글 드라이버지만 ar5000과는 저역대에서 느낌이 많이 다르더군요. 

20:36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오! 확실히 임피던스가 평탄한 것이 뭔가 다른 드라이버 인걸까요. 저번에 올려주신 광고 영상에 키 포인트가 있는지 살펴봐야겠습니다.


GD는 이전에 관련 논의를 영디비에 올렸지만, 뾰족한 해석 방법이 없어 저는 보류하고 있습니다.

단지 개방감이 있는 헤드폰에서 2k 부근 대역이 지저분하다는 공통점이 나타났습니다.



https://www.head-fi.org/threads/neumann-ndh-30.963439/page-87


ndh 시리즈의 경우는 앵글드가 아니라 드라이버가 위에 붙어있는 것으로 압니다. 


21:14
24.01.27.
SunRise

드라이버는 제가 영상에서 확인하기론 예전 쿼드비트에 적용하던 멀티레이어 드라이버와 같은 형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영상 설명으로는 여러겹의 진동판을 겹쳐서 진동판의 모드 특성과 대역폭을 개선시켰다고 합니다. 그것 때문에 임피던스와 f0가 평판형 같이 나오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영상에서 에어플로우 기술이라고 설명해 놓은게 있는데 특별한 댐핑재와 확산재를 드라이버 뒤에 디자인 해놓았다고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5KaBRIran8 이 영상의 4:23초부터 나옵니다.

21:37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3겹을 쌓았다고 하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Multi Layer Driver이라 각인되어 있습니다.
에어플로우 기술은 요즘 회사에서 하나씩 언급은 하지만 완성도의 차이가 극명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THD같은 것이 아니라서 청각적 만족도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분야인 듯 해요.
21:49
24.01.27.
profile image 3등
저는 상성이 괜찮았던 건지 대여 전까지 가장 오래 사용한 헤드폰이었습니다.
(제 경우에는 이어패드 뒤쪽이 귀에 닿기 직전까지 가면 잘 맞더군요)
다만 기본 케이블(검정색)은 사용 안 하고 AR3 케이블만 사용해서
좀 차이가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어차피 젠더 사용해서 언밸런스로 연결한 거라 별 차이는 없겠지만>
21:39
24.01.27.
연월마호
뭔가 헤드폰에 적용할수 있을만한 좋은 기술구조는 다 때려박은 듯한 헤드폰이라 헤드밴드 무게 경량화 까지도 말이죠. 극저역대가 조금 빈다는것을 제외하면 레퍼런스로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들어본 dd 오픈형 헤드폰 가운데 저역대 특성은 상당히 깨끗하다고 느껴졌습니다.)극저역이 빠지는건 아무래도 다른 극저음 대역폭이 부족한 평판형 구조의 헤드폰과 마찬가지로 무게가 가벼워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무게가 350g이더군요.
21:47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연월마호
수령하였을 때 음상이 outphase된 것 같아 확인해보니, 이어패드의 각도가 상당히 틀어져 있어서 일반적인 헤드폰처럼 드라이버 각도에 평행하게 두꺼운 부분을 정렬하였습니다. 4.4밸런스드를 먼저 장착하여 아직 순정 케이블은 못 들어봤습니다.

여러모로 독특한 헤드폰이긴 합니다. 영상에는 정전형 사운드라고 지칭하던데 뭔가 지향하는 바가 많았다는 첫 인상이었습니다.
21:52
24.01.27.
SunRise
aune 같은경우 재스퍼 때도 그렇지만 세심하게 설계해서 만든다는 느낌이 괜찮은 회사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대신 이어폰이던 헤드폰이던 내놓으면 후속작은 안내놓는 독특한 회사이긴 합니다. 재스퍼도 나온지 3년인데 아직 후속작이 없습니다. 영상을보니 중국 커뮤니티에서부터 사람들이모여 diy 앰프만들면서 회사를 차리게된 케이스의 회사라고 하는데 앞으로의 모델도 기대가 되네요.

작년부터 재밌는 헤드폰이 꽤 많이 나오는게 슬슬 헤드폰도 기술개발이 되고 있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fiio ft3는 베릴륨 코팅 드라이버와 큰 다이어프렘으로 저음과 고역대 대역폭을 잡았고 ar5000은 멀티레이어 드라이버와 평판형에 쓰이는 플럭스 마그네틱 후면구조로 dd가 가지고 있는 f0를 평평하게 만들어 극저역의 왜율을 줄이고 큰 드라이버로 고역대 재생까지 가능하게 했고 이번에 나올 hd490pro도 감도가 상당히 높게 만들어졌더군요. ㄷㄷ
22:00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아, 490pro 감도는 최근에 정정 글 올렸습니다. max. SPL은 여전히 최상급 수준입니다.


이어폰 시장과 달리 차이파이 헤드폰은 좀 더 많은 경쟁이 있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아직까지는 하이파이맨 이외에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뚜렷한 경쟁자가 보이지 않았어요.

22:05
24.01.27.
SunRise
하이파이맨은 역으로 저렴한 모델이 최상급보다 측정치는 잘 나오는 연차와 기술력이 쌓일수록 저렴한 제품이 기존의 비싼 제품을 이기는 묘한 회사인것 같습니다. 측정만 보면 he6se가 서스바라보다 특성이 좋습니다. 대신 소리는 서스바라가 좋다고하니 어떤 분들은 서스바라가 고음압에서 중고역대의 피아노 소리가 깨져서 실망이 큰 분들도 있더군요. 슬슬 하이파이맨에서도 서스바라를 대체할 제품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차이파이에선 수월우나 피오등이 평판형 제품을 내는것 같고 텐치짐이 정전형제품을 준비중 그리고 에디파이어가 스탁스 스피릿 s3같은 평판형 헤드폰을 만들긴 하였죠. 앞으로 평판형 시장도 기대해볼만 하지 않나 싶네요.
22:09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맞네요. 에디파이어 스피릿 s3는 참으로 인상적이었습니다.


수월우 헤드폰은 전부 리뉴얼 할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3세대는 지나야 뭔가 나타날 듯 합니다.


서스바라와 he6se 둘 다 들어봤지만 설령 전자가 더 저렴하더라도 제게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서스바라를 고르겠습니다.

예전 기억이지만 he1000과 he6se 중에서는 후자가 제 취향이긴 합니다.

22:12
24.01.27.
SunRise
에디파이어는 스피커던 헤드폰이던 꾸준히 내놓고 있긴한데 mr4를 제외하고 한방은 없다는 느낌이 조금 아쉽긴합니다. 개인적으로 mr4는 측정치와 가격을 보았을 때 대량생산구조의 승리라고 말하고 싶었던 제품이었습니다. 30이 넘는 패시브 스피커인 psb xb보다 특성이 좋습니다.
22:16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대신 금액 특성상 QC 쪽에서는 다소 아쉽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그대로 수입해오는 브리츠가 회사를 잘 잡았죠 ㅎㅎ
22:18
24.01.27.
SunRise
qc는 스피커 갤러리에서 보니 유닛의 뽑기 편차가 심하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재밌는 점은 점점 뒤에 나온 모델일수록 fr을 dsp로 잘 다려놓아서 플랫하게 잘 뽑아 놓았습니다. 피오도 sp3이후 sp5같은 후속작을 내려고 하는데 에디파이어의 나무상자(북쉘프)와 전면 대결은 피하고 싶다는걸 보면 에디파이어의 스피커가 가지는 중국내 입지가 거진 탑 수준이 아닌가 싶긴합니다.
22:21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피오는 에디파이어에 비하면 제조 노하우에서 한참 멀었다 생각합니다.
22:23
24.01.27.
SunRise
일단 가격에서 에디파이어의 상대가 안되니 높은 가격대를 공략하려고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sp3를 저도 구매했지만 40만원대 가격이더군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등 판매단가를 올릴 수 있는 구조는 많이 넣어 놓았지만 측정에서보면 mr4가 더 특성이 평탄하고 좋습니다. ㅠㅠ
22:29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off axis도 잘 살펴봐야죠. on axis 만으로는 아무래도 평가하기에 아쉬우니까요.

22:30
24.01.27.
SunRise
https://audiore.kr/category/%ec%8a%a4%ed%94%bc%ec%bb%a4-%eb%a6%ac%eb%b7%b0/

이 사이트가 스갤에서 측정한 제품들을 누미르님이 정리해놓은 사이트인데 여기서 mr4와 sp3의 수평 지향성을 보면 둘다 준수한데 mr4는 전체적으로 지향각이 넓고 4~5khz가 살짝 튀고 sp3는 고역대로 갈수록 지향각이 좁아지고 5~6khz에서 넓어집니다.

수직은 둘 다 넓은 편이지만 에디파이어가 10도부터 에러가 있어서 sp3가 낫다고 봅니다.
22:37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예전에 올린 그 사이트군요.
https://www.0db.co.kr/FREE/3324611
22:38
24.01.27.
SunRise

여기는 스피커 완제품 측정이 올라오지만 유닛측정은 아직 스피커 갤러리에만 올라와서 이번에 나온 유닛 측정 가운데 노이만의 kh150이 상당히 우수한 드라이버로 평가받았더군요. (괴물이라는 표현을 쓰는걸 보면 거진 퓨리파이급이 아닐까 생각이듭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peakers&no=349863&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kh150&page=1


유닛 측정 링크입니다.

22:49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젠하이저-노이만 유닛 성능은 최상급이라 봅니다
22:58
24.01.27.
SunRise

유닛은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상관없이 항상 잘 만들었죠.ㅎㅎ 특히 헤드폰에서 보았을 때 젠하이져 노이만이 쓰는 헤드폰의 사이즈가 40mm정도라는 한계를 생각했을 때 저역대 thd에서 보여주는 퍼포먼스는 그보다 크기가 큰 50mm제품에 비해서 떨어지지 않지요. 그만큼 극저역 대역폭을 잘 확보한다는 이야기이고 유닛의 fo공진주파수를 낮게 가져간다는 이야기라 노하우가 깊다는 느낌이듭니다. 

23:00
24.01.27.
SunRise
스탁스 스피릿 s3는 에디파이어가 가지고 있는 18%의 오디지 지분율로 인해 오디지의 유닛 설계를 적용할 수 있었던 점 인수한 스탁스의 이미지와 fr곡선을 에디파이어가 활용할 수 있었던 점 그리고 그러면서도 가격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던 에디파이어 특유의 대량생산 가성비 시스템이 합쳐져서 만든 혼종템이 아닌가 싶습니다.
22:19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그렇습니다. 오디지+스탁스+에디파이어의 좋은 조합입니다.
22:23
24.01.27.
종결포기합니다

이제 그게 유선에서 일어나면 신박한게 나오지 않을까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에디파이어가 스탁스 이름을 계속 이용한다는게 보이는게 스탁스라는 이름으로 sr-009s도 내고 x9000같은 플래그쉽도 만들어서 팔아먹고 있다는게 보여서 말이죠. 오디지는 소니가 인수하긴 했는데 에디파이어는 지분율을 매각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매각하지 않았다면 재밌는 녀석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22:27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X9000 이후로는 뭐가 나올까요. 과연...
22:31
24.01.27.
profile image

 차이파이가 헤드폰까지 가성비로 잘만들기 시작했다?라는 평가가 많더라구요.

상당히 들어 보고 싶네요. ㅎㅎ 

상세한 리뷰 기대 하겠습니다. ㅎㅎ

21:43
24.01.27.
iHSYi
호불호 갈릴만한 요소는 있는데 가격이 320달러선이라 hd600 hd650과 대결하는 포지션으로는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21:48
24.01.27.
종결포기합니다
비슷한 차이파이로 같은 구경의 진동판을 사용한 fiio의 ft3도 가지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ar5000이 더 잘 만든 제품이 아닌가 싶습니다. 둘을 비교하면 ar5000이 고역대 자극도 적고 저음도 대역폭은 ft3가 좋지만 표현부분에서는 ar5000이 좀 더 깨끗하다고 느껴지더군요.
21:52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첫 인상으로는 순다라가 입문자를 저격하기에 좋은 사운드였습니다. ar5000은 소리 자체가 제법 뭉툭해서(헤드폰 벗고 소리를 틀어보면 기본적으로 먹먹한 편입니다) aune jasper같은 틈새시장 유저에게 취향저격일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21:55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iHSYi
구조만 보면 스탁스 SR오메가 내지 역 유니폴라같은데, 과도기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좀 더 들어보고 사진을 포함하여 간단 후기 남겨보겠습니다.
21:54
24.01.27.
SunRise

후기 기대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평판형 제품의 사운드를 의식하고 만든 제품이 아닌가 싶은게  헤드폰 구조 뿐만 아니라 중고역대가 좀 빠지는 특성도 대부분의 평판형이 가지는 특유의 단점인데 그런부분까지도 비슷하게 닮아있는걸 보면 dd로 평판형과 같은 사운드를 내는게 목적이었나 싶기도 합니다.

22:03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차라리 평판(자력)형의 느낌이라면 그런 느낌이 들긴 하는데, 정전형(물론 이것도 평판형이긴 합니다)이라기엔 고음이 DD였어요. 일단 첫 인상일 뿐이니 쭉 들어보겠습니다.
22:06
24.01.27.
SunRise
gd를 보면 하이파이맨 평판형 제품들은 중고역대에서 초기 반사음이 많은게 보이는데 이 제품은 hd600수준으로 매우 적더군요.
22:13
24.01.27.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종결포기합니다
상기했듯 GD는 제 실력 부족으로 평가를 못 하겠습니다ㅜㅡ
22:19
24.01.27.
SunRise

저도 gd는 경향성만 보는편이고 해석은 무리입니다. 왜냐하면 헤드폰 레벨에서는 중고역대의 평판형 초기 반사음이 있다고 해도 너무 짧아서 인간이 인지하기엔 어렵다는 점 그리고 헤드폰에서 발생하는 이어컵 공진 이어 시뮬레이터와의 착용편차 등으로 gd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많지요. 하이파이맨 서스바라 정도로 중고역대에서 gd가 튀지 않으면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건 없긴합니다. ㅠㅠ

그래도 소리에서 경향성을 보자면 확실히 hd600같이 dd같은 중고역대라고 느껴졌습니다.

22:24
24.01.27.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월 활동 이벤트 상품 안내! 32 영디비 24.05.16.16:29 1251 +13
음향
image
SBLIFE 11시간 전07:28 83 +7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1일 전16:13 94 +9
음향
image
힙찔2 1일 전12:38 175 +9
음향
image
Evey 1일 전00:47 238 +2
음향
image
SunRise 2일 전10:10 207 +9
음향
image
Magnesium 2일 전01:54 195 +9
음향
image
로드러너 2일 전01:52 970 +14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2일 전01:26 77 +9
음향
image
SunRise 2일 전00:44 141 +13
음향
image
오마이걸 2일 전22:31 125 +10
음향
image
tk56 3일 전15:45 128 +6
음향
normal
Magnesium 3일 전14:38 296 +5
음향
normal
Magnesium 3일 전14:27 121 +7
음향
image
호루겔 3일 전01:20 275 +19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3일 전00:16 110 +14
음향
image
arnold 4일 전16:54 595 +14
음향
image
오마이걸 4일 전09:50 77 +5
음향
normal
뮤직마니아 4일 전00:44 126 +3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4일 전00:09 1112 +14
음향
image
힙찔2 4일 전22:53 128 +8
음향
image
idletalk 4일 전22:52 2820 +12
음향
image
뮤직마니아 4일 전22:09 130 +15
음향
normal
엔디제이디제이 4일 전20:04 99 +3
음향
image
오마이걸 4일 전19:24 236 +3
음향
image
오마이걸 5일 전19:11 74 +3
음향
normal
중국산헤드폰사랑 5일 전18:40 220 +8
음향
image
박지훈 5일 전18:29 99 +5
음향
image
엔디제이디제이 5일 전09:50 777 +14
음향
image
-towhgdk 5일 전02:15 411 +3
음향
image
SunRise 5일 전19:58 15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