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체험단

안정적인 전원부 버미어를 완벽 지원하는 가성비 메인보드 [기가바이트 B550 AORUS ELITE]

이프리타 이프리타
1579 1 0



최근 AMD CPU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의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다만, X570 칩셋에 하이엔드 보드의 경우 확장성과 퀄리티는 나무랄 데 없지만, 가격부담이 적지 않다 보니 기존 B450이나 X470칩셋 기반 보드를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선 선뜻 구매가 망설여 졌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고려해 선보인 B550은 초반에 애매한 가격으로 외면을 받나 싶었지만, 최근에는 비교적 가격 안정화를 이루어져 구매 가시권 안으로 들어왔고 튼튼한 전원부를 통해 최신 CPU를 완벽하게 서포트하는 만큼 최신 라이젠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가성비를 중요하게 분들에게 선호도가 높다.


이번 리뷰에서 소개할 ‘기가바이트 B550 AORUS ELITE’는 X570에 못지않게 안정적인 12+2 페이즈 더블러 방식 디지털 전원부를 탑재하고 PCIe 4.0 지원하며 듀얼 NVMe M.2 슬롯 탑재, 데이지 체인 방식 메모리 슬롯 방식을 적용해 오버클럭과 최신 AMD CPU를 완벽하게 지원한다. 2.5G 기가바이트 이더넷, ALC1200, 솔리드 핀 파워 커넥터, 프론트 킷 등 보급형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고 구성이 좋은 편이다. 과연 실제 모습은 어떤지 지금부터 리뷰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자.


언박싱. 패키지 박스를 살펴보면 브랜드 특유의 분위기를 충분히 살린 디자인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3년 무상보증 스티커와 각종 인증 여부, 3세대 라이젠 지원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측면에는 제품의 스펙과 시리얼 넘버 등을 표시해 놓았다. 완충재에 둘러싸인 메인보드는 정전기 방지 비닐로 포장되어 있다.


패키지 구성품. 사용자 설명서, 사타 케이블 × 2ea, 드라이버&유틸리티 CD, 메탈릭 스티커, G-커넥터가 제공된다. G-커넥터의 경우 고급형 제품에서 볼 수 있던 프론트 킷으로 PC조립 경험이 많지 않더라도 쉽게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설명서는 완벽한 한국어로 기재되어 영어가 난무하던 의미 없던 설명서와 다르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GIGABYTE의 아이덴티티인 AORUS를 상징하는 엠블럼과 이를 형상화한 감각적인 디자인의 I/O쉴드가 인상적인 이 보드는 ATX (30.5 × 24.4cm) 규격에 최신 B550칩셋 기반, AMD AM4 소켓을 지원한다. 12+2 페이즈 더블러 방식 디지털 전원부는 X570만큼 견고하고 이를 커버하는 히트싱크와 그 아래 자리한 5w/mk 높은 열전도율에 써멀패드는 안정적인 오버클럭과 수명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I/O쉴드와 오디오 노이즈 가드를 따라 반짝이는 LED는 눈을 즐겁게 하기에 충분하다. 메모리의 경우 최대 4,733MHz(O.C.)까지 지원하며 최대용량 128GB, 4개의 슬롯을 제공하고 있어 확장성에서도 부족함이 없다.


메인보드에서 가장 높은 발열량을 자랑하는 전원부는 ‘12+2 페이즈 더블러 방식’으로 DR.MOS 모스펫, 최대 출력 SIC651 50A, SOC, 600A를 자랑한다. 이는 X570 AORUS ELITE와 동일한 전원부로 오버클럭과 시스템 안정성에서 좋은 모습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감각적인 모양의 알루미늄 재질의 히트싱크와 5w/mk 높은 열전도율에 써멀패드 조합은 효과적인 쿨링이 이뤄지게 하며 나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DDR4 DIMM × 4슬롯, 최대 128GB까지 확장 가능하며 최대 4,733MHz(O.C.)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사 제품과 달리 ‘Daisy Chain’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이를 통해 전력을 고르게 분배시켜 풀뱅크 오버클럭을 하더라도 보다 높을 성능을 끌어낼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이는 절댓값이 아니며 메모리의 종류, 제조사, 주차, 수율, 호환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4개의 PWM 팬 헤더, 2개의 5V 헤더, 2개의 12V 헤더를 제공하고 있어 수랭 쿨러나 시스템 쿨러, 기타 RGB, LED 액세서리 등을 여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


B550 칩셋 위엔 어로스 엠블럼과 헤어라인에 방열 면적을 늘리는 독특한 디자인에 히트싱크가 자리해 있다. 기존 B450 제품군이 커버에 RGBW/UV LED 라이트 스트립 핀 조합으로 외형에 치중했다면 이번 제품은 보다 효율과 멋을 모두 만족하는 형태로 변화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 그래픽카드가 길고 무거워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PCI 슬롯에 부담이 적지 않다.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기가바이트의 특허 받은 기술 듀얼 잠금 브라켓 기술과 유니메탈 프레임 쉴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듀얼 M.2 슬롯이 제공되며 상단에 히트싱크가 장착된 슬롯에는 최대 22110 크기에 SATA and NVMe PCle 4.0 x4/x2 SSD를 장착할 수 있으며 하단 슬롯에는 최대 22110 크기에 SATA and NVMe PCle 3.0 x4/x2 SSD를 장착할 수 있다.


독립된 구조로 사운드 칩셋을 배치해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라인 쉴딩 레이아웃에 이를 따라 LED 라이트 배치해 눈을 즐겁게 한다. 리얼텍 ALC1200 8ch 고급형 코텍과 WIMA FKP2 오디오 커패시터 조합은 Hi-Fi 수준에 퀄리티 높은 소릴 들려줄 수 있다. 


총 4개의 SATA3 포트를 제공하며 24PIN 메인 전원 커넥터 옆에 2개, 하단 프론트 포트 연결부 근처에 2개가 자리해 있다. 생각하기에 따라 커넥터 수가 적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최근 M.2 인터페이스 방식에 SSD를 선호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2.5 or 3.5형 저장장치는 활용도는 낮아지고 있으니 부족함이 느껴지는 상황은 거의 없지 않을까 싶다.


PS /2 포트는 보이지 않는다. USB 2.0 × 2ea, USB 3.2 Gen 1 × 4ea, USB 3.2 Gen 2 × 2ea, DP포트 (5120×2880@60Hz), HDMI포트 (4096×2160@60Hz)를 배치해 다양한 타입의 최신 규격 기기를 연결, 활용할 수 있다. 리얼텍 RTL8125B 2.5GbE LAN은 최대 2.5 Gbps의 네트워크 전송속도를 제공하며 케이블 변경 없이 Multi-Gig(10 / 100 / 1000 / 2500Mbps) 네트워킹 속도와 호환된다.


무엇보다 CPU가 없더라도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편리한 Q-Flash PLUS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FAT32 파일 시스템 USB에 최신 바이오스를 내려받은 뒤 Q-Flash PLUS USB 포트에 메모리를 꽂고 End 버튼을 누르면 업데이트 화면이 나타난다. 새로운 바이오스를 선택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끝. 막상 해보면 정말 쉽다.


최조 하드웨어를 조립하고 부팅하게 되면 I/O쉴드와 라인 쉴딩 라인을 따라 LED 라이트가 반짝인다. 다소 빈약하지 않을까 싶었지만 적절한 위치에 과하지 않은 밝기에 빛은 메인보드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본 색상은 레드지만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변경 가능하니 원하는 콘셉트에 맞춰 꾸며 보는 것도 좋다.


바이오스 화면. 기본 언어는 영어로 설정되어 있지만 한국어로 변경 가능하다. 제품명, 바이오스 버전, CPU, RAM 상태, 부팅 순서, 온도, 전압, 팬 스피드 등을 한눈에 확인 가능하며 펑션키를 통해 고급모드, 스마트팬, 최적화된 기본값 가져오기, Q-Flash, 저장 및 종료, 즐겨찾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고급모드에선 위와 같은 화면을 만나 볼 수 있다. 언뜻 보기에 구성 자체에는 이렇다 할 특이점이 없지만, 기존 어로스 제품과 다르게 폰트 및 일부 UI가 개선되었다. 기존 B450 칩셋 보드에서 진지한 명조체가 상당히 어색했기에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이다. 물론, UI와 전반적인 가독성, 크기는 여전히 조정이 필요해 보이지만. 성능과 무관한 부분이긴 하나 오버클럭을 선호하는 분들에겐 윈도우 화면보다 바이오스 화면을 자주 보는 만큼 지금보다 세련된 모습으로 변화를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스마트팬과 Q-Flash 화면. 스마트 팬은 메인보드에 연결된 시스템 쿨링팬이나 CPU팬, 수랭쿨러를 손쉽게 제어할 수있도록 돕는다. Q-Flash는 앞서 업급한 바이오스 업데이트 기능으로 설치된 버전은 F2이다. 이번에 선보인 라이젠 버미어를 사용하기 위해선 F10이상 바이오스가 필요하며 최신 바이오스 버전은 F11k이다.


CPU-Z 1.90.0x64 버전을 활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CPU 오버클럭은 진행하지 않았으며 상대적으로 성능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진 메모리는 3,600MHz 16-19-19-39-58-1T 타이밍, 1.35V 전압, NBFrequency는 1,800MHz로 1:1 동기화를 이룬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CINEBENCH R15.0 버전을 활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단일 코어일 경우 198cb, 모든 코어를 활용할 경우 1578 cb, RX580 4G를 장착한 상태에서 OpenGL 값은 160.59 fps를 기록했다. 


AIDA64 EXTREME edition x64을 통한 벤치마크 테스트. 기본 클럭에 해당하는 DDR4 2,133MHz 일 때 Read 31,650MB/s, Write 19,163MB/s, Copy 31,446MB/s였으나 3,600MHz로 오버클럭이 되면 Read 51,017MB/s, Write 28,745MB/s, Copy 48,624MB/s로 상승했으며 Latency의 경우 101.5ns에서 68.9ns로 감소했다.


툼레이더를 활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프레임 상승 옵션을 제외한 모든 항목은 가장 높음으로 설정했으며 1920×1080 해상도, 창 모드 환경에서 진행했다. 총 렌더링 프레임은 8,837, 평균 FPS는 56로 확인됐다. 일부 옵션을 조정한다면 원활한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


파크라이5 뉴던을 활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프레임 상승 옵션을 제외한 모든 항목은 가장 높음으로 설정했으며 1920×1080 해상도, 풀 스크린 환경에서 실행했다. 최소 프레임은 59, 최대 프레임은 98, 평균 프레임은 77, 전체 렌더링 프레임은 5027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살펴본 ‘기가바이트 B550 AORUS ELITE’는 X570에 버금가는 12+2 페이즈 더블러 방식 디지털 전원부를 탑재하고 PCIe 4.0 지원하며 듀얼 NVMe M.2 슬롯 탑재, 데이지 체인 메모리 슬롯 방식을 적용해 오버클럭과 최신 AMD CPU 버미어를 완벽하게 지원한다. 물론,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필요하긴 하지만 Q-Flash 기능으로 CPU가 없더라도 당황할 필요는 없다. 2.5G 기가바이트 이더넷, 고품질 ALC1200, 솔리드 핀 파워 커넥터, 프론트 킷, 디테일한 한국어 설명서 등 보급형 제품군에선 보기 힘든 특징도 인상적이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넉넉한 +12V RGB 헤더와 +5V ADDR RGB 헤더를 각각 2개씩 제공하고 있으므로 RGB 콘셉트로 시스템을 꾸미고자 하는 분들에게도 주목할만한 옵션이다.


바이오스 폰트와 UI는 보다 세련미와 편리함을 갖춘다면 좋겠지만 당장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는 것은 아니니 크게 신경 쓸 정도는 아니다. 오버클럭 유저라면 망설임 없이 선택할만한 구성이고 설령 오버클럭에 관심 없더라도 튼튼한 전원부만으로 시스템 안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만큼 B550 라인업에서 가장 추천할만한 제품이 아닐까 싶다.

신고공유스크랩
벤치프레스좋아함님 포함 1명이 추천

댓글 쓰기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댓글 쓰기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