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체험단

제네렉 8330a, GLM 후기

SunRise SunRise
6060 6 22

삼아사운드 공지사항을 둘러보던 중에 제네렉 대여 이벤트가 있어 신청하였습니다.

현재도 진행 중인 이벤트이니 후기 읽어보시고 관심이 가신다면 연락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예전에 KEF R3에서 제네렉 8351B로 기변하신 분 댁에 들러 청음한 적이 있었는데 말 그대로 신세계였습니다.

당시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위주로 들었는데 스피커가 단순히 자연스러운 공간감과 토널밸런스에서 우수한 것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대부분 스피커 배치 환경을 보면 차라리 헤드폰이 낫다는 말이 어느 정도 유효하니까요.


그런데 적절한 흡음과 방사특성을 고려한 방에서 들어보니 스피커가 업그레이드 될 수록 소리의 품질이 쭉쭉 올라가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소리가 손에 잡힐듯 들린다고 해야할까요. 오케스트라에서 악기가 어디서 들리는지 파악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한 정위 표현에 놀랐습니다. 좌우 뿐만 아니라 앞뒤 깊이 또한 레이어가 분리되듯이 들려버리니 같은 음악이 맞나 싶은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이후 여러 스피커를 들어보면서 FR의 선형성 뿐만 아니라 유닛의 품질 또한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 교집합에 제네렉이 속했습니다.


마침 삼아-제네렉에서 대여이벤트를 진행하여 신청하였고 신품상태로 받았습니다.




프로오디오 아니랄까봐 견고한 캐링 케이스도 멋들어집니다.









구성품은 사진과 같습니다. 생각보다 스피커가 아담합니다.

8330a 1조, GLM 마이크, 케이블, 마이크 삼각대가 들어있습니다.


도색 없는 비매품이지만 개인적으로 도색 제품보다 마음에 들었습니다.

사진에서 잘 보이실지 모르겠지만 우퍼 그릴 가운데가 움푹 들어가 있습니다. 

트위터 주변에는 지향성 조절을 위해 웨이브 가이드가 있네요.






GLM 없이 UMIK으로 on-axis 측정해보았습니다. 

솔직히 가정에서 음악 감상용으로는 GLM이 크게 필요할까 싶을 정도로 훌륭한 측정치를 보여줍니다.


off-axis 응답은 측정이 어려우나 동봉된 측정치를 보면 균일하게 감쇠되는 비축 응답 역시 대단히 훌륭함을 알 수 있습니다.





GLM 기능이 지원되어 비싸진 8330a이니만큼 GLM을 사용해봅시다.

GLM은 랜선으로 연결되고, PC에서 소리를 내려면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즉 비유하자면 신경계와 혈관계 정도 됩니다.







초기 세팅법은 위 영상과 같습니다.








주황색이 GLM 교정된 측정치입니다.

사실 이정도는 UMIK마이크와 REW프로그램만으로 충분하지만, 다중 채널 구성일 경우는 GLM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간편하니까요. 





일반적인 액티브 스피커와 달리 볼륨 노브가 없으므로 GLM에서 조정해야 합니다.

저는 -28dB로 설정한 후 PC 볼륨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타협했습니다. 



룸 트리트먼트가 전혀 없는 가정집이라는 한계를 감안해도 소리가 정말 좋습니다.

듣기로는 제네렉이 다른 스피커 대비 지향각이 좁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덕분인지 좁은 방에서는 매우 훌륭한 매칭입니다. 음상 내지 소리의 포커스가 정확하게 구현되며 흡사 헤드폰과 비슷한 느낌까지 받습니다.

다만 헤드폰은 음상이 머리 주변에서만 맺힌다면 스피커는 거리를 벌린 만큼 구현된다는 명확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달력을 보려 고개를 돌릴 때 소리의 감쇠가 급격하다는 점 정도..?



자연스러운 토널 밸런스는 말할 필요도 없이 훌륭합니다. 

의외로 무색무취의 성향은 아니고 약간 예쁘게 코팅된듯한 소리가 납니다.

그래서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가정 음감용으로도 적지 않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유닛의 품질이 좋기 때문인지 토널밸런스가 기존 시스템(mmm측정)에 비해 흐트러져도 더 좋게 들릴 정도입니다.



이런 D클래스 내장 모니터링 스피커를 쓰다보면 결국 유닛과 인클로져 튜닝이 우선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애매한 입문급 헤드폰에 앰프 추가보다는 헤드폰 업글을 하라고 권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물론 좋은 헤드폰에 좋은 앰프를 매칭하면 금상첨화겠지요.ㅎㅎ



미국 거실 정도 공간이 있다면 JBL 궤짝 스피커를 하나 들여보고 싶은 욕심이 있지만,

한국 아파트 환경에서는 제네렉만큼 최적화된 스피커 회사 제품이 드물지 않을까 싶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알린 알린님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2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제네렉이 진짜 말씀하신대로 한국의 주거 환경에 너무 잘 맞는 녀석인 것 같습니다. 
북쉐프 스피커 계열은 제네렉 아니면 Kef LSX 두 제품이 가장 관심이 가네요. 
 
물론 현실은 쓰던 프리소너스 스피커가 나가서 신품 10만원 이하의 저렴이 스피커라도 사야하나 고민 중인..ㅋㅋ

20:35
21.12.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Heskeybi
티악 ls m100 추천드립니다
21:39
21.12.29.
profile image
SunRise
감사합니다. 문제는 역시 매물 구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네요. ㅜㅜ
22:42
21.12.29.
Heskeybi
쓰시던게 eris e3.5 면 ls-m100이 조금 더 나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제가 선라이즈님 추천받고 ls-m100 쓰다가 블프때 e3.5도 가져왔는데
결국 ls-m100이 남고 e3.5는 봉인중입니다.
매칭 DAC은 LG USB-C DAC 추천합니다. 저렴하고 발열적고.
22:11
21.12.29.
profile image
말릭
감사합니다. 선님께 답글 단 것과 마찬가지로 괜찮아뵈긴 하는데 문제는 역시 구하기가...ㅎㅎ
동일 모델인 TASCAM LV-S3로도 찾아봤으나 사정은 똑같더군요 ㅡㅡ;;
원래 사용하던 모델이 4.5긴 했는데, 어차피 굳이 다시 4.5를 사지는 않을 것 같고 앰프를 따로 구하기도 싫어서 액티브를 사긴 해야하는데...

혹시 봉인 중이시라면 3.5를 저렴히 양도해주시면....ㅋ
22:43
21.12.29.
profile image
스튜디오에서 디지털로 운용하는 제네렉8260 들어본 날이 제 인생에서 부띠끄 하이엔드 오디오에 대한 동경심을 완전히 접게 된 날이었습니다.
21:38
21.12.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idletalk
제네렉이 제너럴하게도 괜찮다 생각합니다 ㅎㅎ
21:40
21.12.29.
profile image

저기 100hz 딥은 어디를 가도 보이는군요 ㅋㅋㅋ

21:51
21.12.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lIllIlIlIII
주택이 답입니다..
22:57
21.12.29.
lIllIlIlIII
100~150hz 딥은...룸트리트먼트 과하게 하신분들이나 안보이죠 ㅋㅋㅋ
23:08
21.12.29.

제네렉도 좋지만 노이만도 그 못지 않게 좋습니다. kh120과 8030c를 비교한다면 제네렉은 넓은 지향성 노이만은 좀 더 플랫한 on-axis 응답과 좁지만 정교한 지향성 저역대에서 8030c대비 조금 더 낮은 thd 정도로 차이가 갈리긴 하는데 아무래도 glm이 들어간 모델을 사용한다면 노이만보단 제네렉이 룸튜닝에 편의성이 훨씬 좋긴 합니다.  
  
 노이만도 결코 밀리는 녀석이 아닌데 그놈의 소프트웨어 때문에 인기가 없는게 참 아쉽습니다. 가격은 이제 노이만이나 제네렉이나 거진 비슷해졌습니다. 

22:28
21.12.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karsh
노이만도 이벤트 있으면 좋겠습니다
22:57
21.12.29.
SunRise
그건 그렇죠. 아마 니어필드용으로는 kh80이나 kh120을 이벤트해야 될 것 같습니다. kh310은 니어필드용이긴 한데 골방용으론 좀 크고 kh420부터는 이미 니어필드용이 아닙니다. 니어필드로 쓰기엔 제네렉 동축이 역시 제일좋고 미드필드나 파필드용으로 고음압 재생을 할때에는 역시 kh420이 낫기 때문에 아무래도 고가형으로 가면 쓰임새가 확 달라져서 310이나 420 이벤트하는건 크게 의미가 없지 않나 싶습니다.
23:51
21.12.29.

GLM 측정쪽에선 45hz 정도까지 괜찮게 나오는걸로 보이는데... 아래쪽에 (mmm 방식으로 하신듯?) 측정그래프에선 또 30hz 대역까지도 괜찮게 나오네요. 
 어떤 차이인가요?

23:10
21.12.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kalstein

mmm은 서브우퍼 있는 기존 시스템 측정치입니다.

23:32
21.12.29.

 드디어 스피커 리뷰까지 진출을! 
 
 일반적인 한국 방 사이즈 생각하면 제네렉으로 니어필드 구성하는것만한게 없는것 같습니다. 지향각이 좁다는건 룸 튜닝에 조금 더 적은 비용을 써도 괜찮다는것이라.. 비싸지만 저비용, 고효율, 고음질을 모두 달성 가능한 드문 제품인 것 같아요.  
  
 소중한 후기 잘 보고갑니다! 
  
 
+ GLM 되게 편하고 좋아보입니다!

09:52
21.12.30.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nalsse
제네렉은 중고거래도 편해서 생각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생각합니다 ㅎㅎ
10:41
21.12.30.
nalsse
일반인 기준으로 저비용은 iloud mm...아닐까요. 엣헴 ㅋㅋ
10:42
21.12.30.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kalstein
상위기 생각나면 결과적으로 저비용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제네렉 구매한 후에 뒤도 안 돌아보고 탈출하는 것이 진정한 저비용이죠 ㅋㅋ
10:59
21.12.30.
SunRise
근데 저기에다가 깔맞춤한다고 제네렉 우퍼 달면...돈이 넘사벽 ㅋㅋㅋㅋㅋㅋ
11:08
21.12.30.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kalstein
그런 분은 애초에 예산이 문제가 아닐텐데요 ㅋㅋㅋㅋ
11:08
21.12.30.
SunRise
하나하나 붙이다가 나중에 돌아서서 총액보면 '아니 내가 이렇게 돈을 많이썼나?' 싶고 뭐 그런거죠 ㅋ
11:11
21.12.3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